되면한다
[논문 리뷰] 컨테이너 전용부두의 최적 서비스 수준에 관한 연구 본문
내가 논문 읽은 이유: 선박 대기율을 증가시키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논문 요약: 본 연구 목적은 컨테이너 전용부두에서 선석 수에 따른 최적의 선석점유율과 선박 대기율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는 국내 대표항만인 부산신항 P부두의 최근 3년간의 선박 접안 실적 자료를 토대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 및 적용하여 선석 수를 달리하면서 시뮬레이션에서 얻은 결과를 활용하였다. 이 결과와 P항만의 최근 3년간의 재무 자료와 체선 체화에 따른 비용 등을 터미널운영사(TOC), 선사 및 화주의 입장에서 경제성을 분석하여 순이익이 최고인 선석점유율과 선박대기율을 최적 서비스 수준으로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컨테이너 부두 4선석은 선석점유율 63.4%와 선박대기율 10.6%에서, 5선석은 선석점유율 66.0%와 선박대기율 9.6%에서, 6선석은 선석점유율 69.0%와 선박대기율 8.5%에서 최적 서비스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논문 진행 과정(내가 필요한 부분의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한 과정)
1. 용어 정의
평균 선석 점유율 = SUM(접안 시간) / SUM(선석의 가용시간)
평균 선박 대기율 = SUM(대기선박의 대기 시간) / SUM(입항선박의 접안 시간)
연간 처리량 = SUM(선박별 하역량)
연간 접안척수 = SUM(하역 처리 선박 수)
선박당 평균 서비스시간 = SUM(입항선박접안시간) / 처리접안척수
선박당 평균 대기시간 = SUM(대기선박의 대기 시간) / 총 대기선박 수
2. 범위 한정
연구 대상은 컨테이너 전용 항만으로만 한정하였으며, 연구 범위를 선박과 선석과의 내용만으로 한정한다.(장치장, 게이트의 프로세스는 제외)
3. 시뮬레이션 모델의 개발
선박의 1회 접안시 하역량의 규모에 따라 LPC(Life per Call)를 4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LPC별 발생비율, 처리량 발생분포 및 하역크레인의 배정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발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선박 도착부, 선석의 접안 가용 여부 체크부, 묘박지에서 대기 처리부, 선석 접안부, LPC별 분배부, LPC 규모에 따른 크레인 및 갱 배정부, Dwell time에 따른 장치장 처리부, 크레인 및 갱 해제부, 이안부 및 아래 부분에 처리 데이터를 표시하는 판넬부 등으로 구성하였다.
4. 선석 점유율과 선박대기율의 관계 요약
컨테이너 항만에서의 선석 수에 따른 선석 점유율과 선박 대기율의 상관관계를 정리하였다.
5. 결론
선석의 개수별로 최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석점유율과 선박대기율을 찾아냈다.
출처: 박상국.「」20166컨테이너 전용부두의 최적 서비스 수준에 관한 연구
'항만운영대시보드 > 논문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리뷰] 컨테이너 터미널의 이론적 대기율과 실제 대기율 비교에 관한 연구: 부산항 신항 A 터미널을 대상으로 (0) | 2021.06.24 |
---|---|
[논문 리뷰] 항만에서 최적 생산성 및 서비스 수준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0) | 2021.06.21 |
[논문 리뷰] 정박 대기시간 예측을 위한 Port-MIS 데이터 분석 (0) | 2021.06.21 |
[논문 리뷰] 국내 항만의 선박 대기율 실증 분석 연구 (0) | 2021.06.21 |